학술대회
Conferences
2025 전국 수의과대학 교수 연수 교육
일시: 2025. 2. 11. 13:00
장소: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
-
수의학교육실의 필요성과 운영 사례 (최양규 교수, 건국대)
-
고등교육법 시행령 개정과 수의과대학 학제 개편 (남상섭 교수, 건국대)
-
교육과정 원칙 수립과 교육과정 편성 (이기창 교수, 전북대)
-
수의전문직업성 교육의 설계 (천명선 교수, 서울대)
-
수의학교육과 관련된 기관의 종류와 역할 (박인철 원장, 한국수의교육인증원)
2024 전국 수의과대학 신임교수 워크숍
일시: 2024. 8. 22. 10:30
장소: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
-
수의전문직업성과 수의학 교육 (천명선 교수,서울대)
-
수의대 학생 이해와 상담 (정진원 교수, 서울대)
-
수의학 교육과 관련 기관의 역할 (이기창 교수, 전북대)
-
교육과정 이해와 교수자의 역할 (남상섭 교수, 건국대)
-
학습목표 설절과 평가 방법 (남상섭 교수, 건국대)
-
수의학 교육 인증평가의 중요성 (박인철 원장, 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)
2024 한국수의과대학협회 심포지엄
일시: 2024. 1. 22. 09:30
장소: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
-
보건의료계 통합교육 체계 (이지현 교수, 서울대)
-
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과과정 소개 (윤준원 교수, 서울대)
-
수의대 통합교육의 의미 (천명선 교수, 서울대)
-
통합 체계에서 임상교육의 방향성 (이기창 교수, 전북대)
-
통합 교육체계 준비를 위한 수의학 교육 관련 단체와 한수협의 역할 (남상섭 교수, 건국대)
2022 한국수의교육학회 및 세미나
일시: 2022. 1. 25. 13:30
장소: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
-
내용 정리 중
2021 대한수의학회 추계국제학술대회 교육세션
일시: 2021. 10. 28. 15:00
장소: 군산새만금컨벤션센터 심포지움 5
-
A proposal for “The Korean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(10개의 캠퍼스, 하나의 수의과대학으로)_신성식 (전남대 수의대)
-
Veterinary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During the COVID-19 (COVID-19 유행 기간 수의과대학 학생의 학습경험) _천명선 (서울대 수의대)
-
COVID-19가 드러낸 수의학 실기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_김세홍 (건국대 수의대, 전국수의과대학학생협회)
2020 대한수의학회 추계 학술대회 교육세션
일시: 2020년 11월 19일(목) 오후 13:30
장소: 홍천 소노비발디파크D 에메랄드홀 (3층)
표준 국가시험 제도의 수의사 국가고시 적용을 위한 준비 (남상섭, 건국대 수의대)
수의사 국가시험의 현황 및 문제점 (천명선, 서울대 수의대)
수의사의 졸업역량 달성을 위한 역량중심 교육 모델 적용 (이기창, 전북대 수의대)
2020 수의학교육 워크숍
일시: 2020. 5. 12. 15:30
장소: 서울대학교 수의고대학
-
수의학교육 직무 술기와 수행 항목 설정을 위한 고려 사항 (류판동 교수, 서울대)
-
의학교육에서 기본 임상술기 표준안 (노혜린 교수, 인제대)
-
종합 토론
2020 한국수의교육학회
(2020.1.9)
-
수의사 국가고시의 현황 및 문제점 (서울대 천명선)
-
표준 국가시험 제도의 의미와 적용 가능성 (건국대 남상섭)
-
해외 수의사 시험제도 비교 (전북대 이기창)
-
한국수의교육학회 총회
2018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
수의교육세션 (2018.10.26)
수의 약리학 교과목 개선을 위한 수의약리학 역량 설정 : 류판동(서울대 수의대)
기초수의학 분야 통합 실습의 성과: 이상원(건국대 수의대)
산업동물 임상교육의 발전 방안: 김단일(서울대 수의대)
신임교수 워크숍
대한수의학회/한국수의학교육협회/한국수의교육학회(2018.10.26)
한국수의학교육에 대한 신임교수의 공헌: 류판동 (서울대 수의대)
교육목적과 목표 및 졸업역량의 관계: 남상섭 (건국대 수의대)
학습성과 작성하기(실습): 천명선 (서울대 수의대)
학생 이해하기와 상담: 이승희(서울대 의대)
2017 수의학교육 세미나
한국수의교육학회/서울대 수의학교육실
Present and future challenges of Veterinary Education in UK: Ayona Silva-Fletcher (Professor, The Royal Veterinary College, University of London)
유럽 수의학교육 인증(EAEVE Accreditation) 소개: 이상원 (건국대)
수의학교육에서 동료교수법 적용: 이인형(서울대)
교육과정 구성의 원칙과 적용: 건국대학교의 사례: 남상섭(건국대)
질의 및 토론: 김대중 (한국수의교육학회장)
2016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
(2016. 10. 26)
한국 의과대학학생에 대한 이해: 노혜린 (인제대 의대)
한국수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 요인 조사: 스트레스 측정 지표 검증을 위한 예비조사: 천명선(서울대 수의대)
수의과대학 학생의 스트레스 수준 예비조사: 남상섭 (건국대 수의대)
2015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
수의학 교육의 새로운 시도와 노력: 교육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(2015. 10. 30)
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수의학과 학생 현장실습 방안 제언동물생명6차산업 특성화 사업에서의 수의학 교육: 윤병일(강원대 수의대)
전남대학교 수의과대학 LINC 사업단 사례: 오용관(전남대 수의대)
4학년 임상심화실습과정 운영 사례와 성과:조종기(충남대 수의대)
학습콘텐츠 개발, 책벌레 기르기‧저술장려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능력 증진: 안동춘(전북대 수의대)
2014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
한국 수의학교육의 최신 이슈
(2014. 10. 17)
의학교육의 최근 개선 방향: 이석재(제주대 의대)
인증평가 후 교육의 변화와 개선방향: 한창훈(제주대 수의대)
성과바탕임상교육을 위한 모바일앱 개발: 천명선(서울대 수의대)
수의대 전공심화실습 과정: 윤병일(강원대 수의대)
한국 수의학 용어 표준화: 김대중(충북대 수의대)
2014 대한수의학회 춘계학술대회
역량 중심 수의학 교육 : 학습성취와 평가
(2014. 5. 22)
성과바탕 학습목표 작성: 허 선 (한림대 의과대학)
성과중심교육에서의 학생평가: 임선주 (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)
수의학 교육과 핵심역량: 천명선 (서울대 수의학교육실)
지정토론: 손원근 (제주대 수의과대학)/ 윤정희 (서울대 수의과대학)
2013 대한수의학회 추계학술대회
수의학교육구상 2020, Veterinary Education Initiative 2020
(2013. 10. 10)
수의사 국가고시와 수의학 교육: 장병준 교수(수의사국가시험위원회 부위원장)
수의학교육인증과 평가: 박인철 교수 (수의학교육인증원 제주대 현장방문 평가단장)
수의과대학의 교육과정 개선 방향: 윤정희 교수 (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부학장)
2012 대한수의학회 춘계학술대회
역량 중심 수의학 교육
(2012. 4. 25)
수의학 교육 인증과 수의사 역량 강화: 이흥식(한국수의학교육인증원장)
수의사국가시험과 실기평가: 강태영(제주대 수의대)
역량 중심의 수의임상교육 : Day 1 Skill 선정과 적용: 이인형 (서울대 수의대)
수의사의 One Health 역량과 교육: 천명선(서울대 수의대)
2011 대한수의학회 춘계학술대회
수의예과 교육, 그 현황과 문제점 해결을 위한 노력
(2011. 10. 27)
서울대학교 예과 교육의 현황, 문제점, 그리고 개선방향: 황인구(서울대 수의대)
수의예과 학생의 학습성과: 박전홍(제주대 수의대)
수의예과 교육에서의 수의전문직업성: 천명선(서울대 수의대)
2012학년도 서울대학교 의예과 교육과정 개선: 이승희(서울대 의대)